3단계 스트레스 DSR 뜻 계산기 시행방안 기타대출 전세대출 집값

3단계 스트레스 DSR 뜻 계산기 시행방안

3단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제도는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시행한 대출 규제로, 소득 대비 모든 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40% 이하로 제한하는 방식입니다. 3단계는 특히 기타대출, 전세대출, 주택담보대출까지 포함되며, 집값과 대출 가능금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주요 키워드: DSR 계산기, 전세자금대출, 기타대출, 스트레스 DSR, 총부채원리금, 집값 영향

DSR 뜻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ebt Service Ratio)의 약자로, 연소득 대비 연간 대출 상환액 비율을 말합니다.
3단계 시행 시기
2022년 7월부터 전면 시행, 소득에 따라 대출 한도가 제한됩니다.
적용 대상
  • ✅ 모든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 ✅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 포함
  • ✅ 총대출액 1억원 초과 시 적용
구분 DSR 규제 전 DSR 3단계 적용 후
연소득 5,000만 원 1억 5천만 원 이상 대출 가능 1억 이하로 축소
전세자금대출 별도 심사 없이 가능 DSR 포함, 제한 강화
기타대출 (신용 등) 비교적 자유 합산 적용, 원리금 포함
  1. 연소득 확인 (근로소득원천징수, 국세청 소득)
  2. 기존 대출 월 상환액 합산
  3. DSR 비율 계산 = (연간 원리금 상환액 ÷ 연소득) × 100
  4. 결과 40% 이하 시 신규대출 가능
  • 전세대출과 주택담보대출도 DSR 대상이므로 대출 가능금액이 줄어듭니다.
  • ✅ 집값이 낮더라도 소득 대비 부채가 많다면 대출 승인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요약: 3단계 DSR은 전세대출, 신용대출 등 모든 대출의 연간 상환액을 소득 대비 40% 이내로 제한하며, 실수요자의 집값 구매 능력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은행별 DSR 계산 방식에 차이가 있으므로, 반드시 해당 금융기관의 계산기를 활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