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서 먹는 '신라면'이 더 맛있다" 이유 있었네... 진짜 '이유' 밝혀졌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URL을 확인하세요! 

"해외서 먹는 '신라면'이 더 맛있다" 이유 있었네... 진짜 '이유' 밝혀졌다

사진=아마존사진=아마존

라면 애호가들 사이에는 뜨거운 논쟁이 있다. '해외에서 구매한 라면이 더 맛있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라면 제조사들 역시 이 말에 동의한다. 해외로 수출되거나 현지에서 생산된 라면은 건더기 양이 많고 크기도 크다. 그러나 그만큼 가격이 높다는 것도 사실이다.

식품 산업 전문가들은 건더기 양보다 스프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주목해야 할 성분은 'L-글루타민산나트륨'(Monosodium L-glutamate)인 MSG다. 감칠맛을 증진시키는 MSG는 해외 수출용 라면 외포장에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국내용 라면에는 MSG가 없는 것일까.

 

"MSG 해로운 성분" 낙인 효과

각 나라별 MSG 성분 안전성 평가. /사진 출처=대상각 나라별 MSG 성분 안전성 평가. /사진 출처=대상

라면의 MSG 논쟁은 2010년대 초에 시작되었다. 한 TV 음식 프로그램은 '건강한 식당'을 선정할 때 MSG 사용 여부를 기준으로 삼았다. 맛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더라도 MSG를 사용한 경우 건강한 식당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돼지갈비, 냉면, 감자탕 등 유명 식당들이 건강한 식당에 도전했지만, MSG 사용 때문에 탈락하는 경우가 많았다.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MSG 논쟁이 급속도로 번져갔다. MSG를 과도하게 섭취하면 뇌신경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주장과,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원당을 정제한 것이라는 반론이 나왔다. 논란이 확산되자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195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세계보건기구(WHO)의 공동 연구 결과에 따르면, MSG는 평생 섭취해도 안전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실제로 농심, 오뚜기, 삼양식품은 2007년부터 라면에서 MSG 사용을 중단했다. 당시 웰빙 트렌드에 따라 천연 조미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주요 이유였다. 현재 팔도의 '틈새라면'과 GS25의 '오모리김치찌개면' 등 일부 제품에만 MSG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판매되는 수출용 라면, 예를 들면 '신라면'과 '불닭볶음면' 등에는 여전히 MSG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미국에서 생산되는 신라면에는 MSG가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1968년 '중국집 증후군'으로 인해 미국에서도 MSG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라면 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MSG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거부감을 가진 소비자들 때문에 쉽게 다시 사용할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이베이사진=이베이

대상은 '미원'이라는 MSG를 활용한 '미원라면'을 출시하며 도전장을 내밀었다. 육개장 기반의 국물에 미원을 첨가하여 감칠맛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 제품은 큰 성공을 거뒀습니다. GS25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출시된 이후 미원라면은 150여 종류의 컵라면 중 매출 10위를 차지했습니다. GS25 관계자는 "컵라면은 베스트셀러가 많아 순위 변동이 적다"며 "이는 이례적인 인기"라고 설명했습니다.

MSG를 선호하는 소비자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소셜미디어에서는 라면을 맛있게 먹는 방법 중 하나로 미원 한 꼬집을 넣는 레시피가 공유되기도 합니다. 또한 스테이크를 미원에 절여 드라이에이징하는 방법도 화제가 되었습니다. 대상은 '흥미원'이라는 미원의 부 캐릭터를 선보이며 MZ 세대를 겨냥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세계가 즐겨 찾는 한국 ‘라면’…수출액 역대 최고

사진=라오스비엔티안의 한 대형마트사진=라오스비엔티안의 한 대형마트

 

상반기에 국내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라면 수출액'은 성장세를 보였다. 올해 2월부터 3월까지 한시적으로 흑자로 전환됐으나, 4월부터 적자 추세가 계속되었다. 관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 무역수지는 102억 1,700만 달러의 적자로 늘어났다. 올해 상반기 누적 무역적자는 254억 7,000만 달러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라면의 성장이 돋보였다. 최근 한국무역협회의 보고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라면 수출액은 3억 8,340만 달러(약 4,976억원)로 지난해 상반기(3억 1,969만 달러)에 비해 19.9% 증가했다. 2015년 이후 라면 수출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올해 상반기 라면 수출액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K-POP, 영화, 드라마 등의 K-콘텐츠 인기 확산이 한국 라면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평가한다.

수출 국가 순위는 중국(9,191만 달러), 미국(4,786만 달러), 일본(3,032만 달러), 대만(1,483만 달러) 순이었다. 이어서 필리핀(1,477만 달러), 태국(1,460만 달러), 말레이시아(1,304만 달러), 호주(1,277만 달러), 캐나다(1,159만 달러), 네덜란드(1,130만 달러) 등 주요 국가에서 지난해 동기 대비 6~94% 증가했다. 라면 수출은 2015년부터 계속 상승세를 보였다. 코로나19가 창궐한 2020년 상반기에는 집밥 수요 증가로 라면 수출액이 전년 대비 37.4% 증가했다.

사진=대만식약서사진=대만식약서

그러나 올해 2분기 실적을 보면 농심, 오뚜기, 삼양식품 등 주요 라면 기업 3사의 실적에는 희비가 엇갈렸다. 지난 17일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농심의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7,562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75% 급감한 43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별도 기준으로는 전년 2분기(73억원)에 비해 103억원 감소하여 30억원의 영업손실을 보였다. 농심이 영업이익에서 적자를 낸 것은 1998년 이후 24년 만이다.

최근엔 유럽에 판매하는 제품에서 농약이 검출 돼 리콜 명령을 받았다. 유럽연합(EU) 식품 당국은 지난달 28일 유럽에서 판매되는 농심의 ‘신라면 레드 슈퍼 스파이시’에서 ‘이프로디온(iprodione)’이란 농약 성분이 검출됐다며 판매 중단과 리콜 명령을 내렸다. EU 식품·사료신속경보시스템(RASFF)은 이러한 사실을 회원국에 알려 각국은 제품 회수 조치를 내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지의 검사 결과, 유럽 기준이 0.01ppm인데 반해 농심의 해당 제품에서는 0.025ppm이 검출된 것. 반면 우리나라는 기준이 다르다. 농약 성분이 0.05ppm 이하이면 ‘적합’ 판정을 받는다. 유럽에 비해 약한 기준이다.

반면에 오뚜기와 삼양식품은 성장세를 지속했다. 업계 2위인 오뚜기는 연결 기준으로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7,893억원과 477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에 비해 각각 18%, 32% 증가했다. 삼양식품은 올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한 2,553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은 92% 증가한 273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만을 기준으로 볼 때, 삼양식품이 2위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0 Comments


>> 대출 가능한곳 (클릭)



금융포털 | 금융경제연구소 | AT교육센터 | 모두복지 | 모바일뉴스 | APT랜드 | 아이트리 | 테크개몽 | 스포츠컴 | IT로그 | 실시간교통상황 | 보험포털 | 뉴스테크